본문 바로가기
유익한 정보

꿀벌 대량 실종 상태 막을 수 있나, 2022년 꿀벌 실종 현황

by 현명한도미니카 2023. 5. 9.
728x90
반응형

                               새로운 밀원수로 관심을 끌고 있는 칠엽수의 꽃과 잎.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꿀벌이 대량으로 사라지는 상황이 국내에서 매년 벌어지고 있다. 이른바 ‘꿀벌 대량 실종 사태’의 여러 가지 원인 중 하나로 밀원수(꿀벌에게 꿀을 제공하는 나무)의 감소가 꼽힌다.

 

이런 상황에서 세계 4대 가로수 중 하나인 ‘칠엽수’가 한국의 대표 밀원수인 아까시나무보다 더 많은 꿀을 꿀벌에게 제공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국내에서도 칠엽수를 가로수로 대량 식재하는 경우 꿀벌의 대량 실종 사태를 어느 정도 막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국립산림과학원 밀원자원연구팀은 칠엽수 1그루(나무 높이 15.7m, 사람 가슴 높이의 직경 61.5cm)의 꿀 생산량을 조사한 결과, 806g의 꿀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1㏊에 80그루의 칠엽수를 심는 경우 생산 가능한 꿀은 64㎏에 이른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이는 같은 면적에 같은 수의 아까시나무를 심을 경우 생산되는 꿀의 양(38㎏)에 비해 1.7배 많은 것이다.

 

                                   칠엽수 꽃에서 꿀을 빨아먹고 있는 꿀벌.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이번 연구에서 국내에 있는 칠엽수의 개화 기간은 5월 3일부터 14일까지 13일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꽃 1개 당 개화 기간은 2.5일로 개화한 지 3일이 되면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칠엽수의 꽃 1개가 분비하는 화밀(꽃꿀)은 평균 1.0㎕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개화 첫날에 가장 많은 0.61㎕의 화밀을 분비하며, 이후 2일 차에 0.26㎕, 3일 차 오전에 0.13㎕의 화밀을 각각 분비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과학원 관계자는 “칠엽수의 개화 초기에 꽃잎의 중간에 꿀벌을 유인하는 역할을 하는 ‘밀표(蜜標, honey guide)’가 발달하고 화밀(꽃꿀)의 분비가 끝나면 붉은색으로 변하는 밀원식물 고유의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칠엽수는 칠엽수과에 속하는 낙엽수(활엽수)로 수형이 웅대하고 수려해 가로수는 물론 공원수·정원수 등으로 심기에 좋다. 하나의 작은 가지에 잎이 7개씩 생겨나서 ‘칠엽수’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나무는 30m 높이까지 자란다.

 

국내의 경우 공원 등에 일부 심기는 하지만, 가로수로는 널리 보급되지 않았다. 칠엽수는 플라타너스(양버즘나무), 피나무, 느릅나무 등과 함께 세계 4대 가로수로 꼽힐 정도로 해외에서는 인기가 높은 가로수다.

 

나성준 산림과학원 연구사는 “관상적 가치와 밀원 가치를 동시에 지니는 다목적 수종인 칠엽수를 가로수와 공원수로 적극적으로 식재한다면, 양봉 산업을 다시 일으키는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칠엽수는 우리나라 어디에 심어도 잘 자라기 때문에 길가는 물론 공원이나 대학 등 학교의 정원에 적극적으로 심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2022년 대한민국의 꿀벌 실종

 

 

 

꿀벌은 속씨식물 수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22년 대한민국의 꿀벌 실종 2022sus 1월부터 발생한 양봉 꿀벌 개체수 급감 사건이다. 이 현상은 21세기에 들어 점차 늘어나고 있는 군집 붕괴 현상의 하나로 세계 곳곳에서 관찰되고 있다.

2022년 1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시작된 꿀벌 실종은 3월까지 전라남도, 경상남도, 충청북도까지 북상하며 발생하였고

 4월에 들어 경기도 고양시에서도 관찰되는 전국적 사건이 되었다.

규모

2022년 3월 집계한 주요 피해 규모는 아래와 같다.

2022년 1분기 꿀벌 감소 규모지역전체 양봉 통수피해 규모비율

전남 246,300 105,900 43 %
경남 350,000 38,433 11.1%
제주 74,216 11,133 15.1%
충북 259,000 51,000 19.7 %

원인

한 지역의 꿀벌 군집이 붕괴하는 이유는 다양한 요소가 있을 수 있지만 전국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가장 유력한 원인은 기후변화이다.그 외에 꿀벌응애와 같은 기생충의 창궐이 원인이 될 수 있다.  21세기에 들어 양봉 농가는 등검은말법과 같은 외래 천적의 침입, 과 같은 질병, 폭낭충봉아부패병염과 집중호우가 반복되는 여름과 점점 더 더워지는 겨울의 특징을 보이는 기후변화 등으로 꿀벌 개체 감소와 꿀 생산량 급감을 겪어왔다. 2022년 꿀벌 개체 감소는 유래가 없이 큰 규모로 이러한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최근 꽃에서 채취하는 꿀이 적어지자 먹이로 준 설탕 때문에 면역력이 떨어진 것이 기후 변화에 따른 따듯한 겨울을 만난 것과 겹치면서 꿀벌 군집 붕괴 현상을 가속화 시켰다고 진단한다. 또한 2021년 8월에서 9월사이 응애류가 급격히 번성 할 때에는 로열제리채취 등을 이유로 제대로 방제를 하지 못하였다가 이후 뒤늦은 방제를 하면서 일부 농가가 정상적인 양의 3배에 이르는 과도한 살충제를 투여한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2023년 경에는 꿀벌 군집 붕괴의 원인으로 꿀벌응애가 지목되고 있다. 양봉농가들이 특정 성분이 든 방제제를 오랜 기간 쓰다 보니 내성이 생긴 응애가 발생했고, 이 때문에 꿀벌의 면역력이 약해져 집단 폐사했다는 설이다. 정부는 2023년부터 내성을 일으킨 방제제를 사용하지 않고 꿀벌응애를 퇴출하는 사업을 시작하기로 결졍했다.

영향

꿀벌은 속씨식물 수분을 돕고 꿀을 생산한다. 이 때문에 꿀벌 개체의 감소는 곧바로 속씨식물이 열매를 맺지 못하는 일로 이어진다. 당장에는 2022년 과수 농가의 과실 재배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2006년 미국의 꿀벌 실종 사건 당시 밀가루의 값이 폭등한 사례가 있다.

기후 변화

꿀벌의 개체수 감소는 전세계적 현상으로 기후 변화가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꿀벌 개체는 천적의 개체수나 질병 등으로도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후 변화가 단일한 원인이라고 할 수는 없다.그러나 따듯한 겨울 때문에 다른 요인들이 증폭되어 꿀벌 실종의 규모가 더 커졌다. 미국의 경우 1973년에서 2017년까지 장기 관찰에서 다양한 기후 변화가 꿀벌 개체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되었다.

 

미국의 저널리스트 로완 제이콥슨은 2008년 《꿀벌없는 세상,결실없는 가을》에서 꿀벌의 군집 붕괴 현상이 세계적인 식량 위기를 가져올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1962년 레이철 카슨이 《침묵의 봄》에서 살충제에 의한 꿀벌 군집 붕괴를 경고한 이후 기후 변화가 꿀벌을 중심으로 한 생태계 위기의 또 다른 원인으로 떠오른 것이다. 기후 변화에 따른 생태계 위기는 먹이사슬과 같은 영양단계에 영향을 미쳐 세계적인 여러 문제를 가져 올 수 있으며 식량 위기와 같이 인간의 삶에 직결되는 문제로 확대 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