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4절기

24절기란? 24절기 전체 요약 2023년 24절기

by 현명한도미니카 2023. 2. 15.
728x90
반응형

우리나라는 옛날부터 음력을 이용하여 날짜를 세었다.  아직도 기일이나 생일을 음력으로 지내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인지 24 절기도 음력일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것 같다. 그러나 달력을 보면 24 절기는 양력으로 매월 4~8일 사이와 19~23일 사이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24 절기는 양력 기준이다.

앞으로 24 절기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거기에 얽힌 이야기들도 써 나갈 것이다.

< 24절기 >

24 절기의 시작

24 절기의 이름은 중국 주나라 때 화북지방의 기상 상태에 맞춰 붙인 것이다.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의 황경이 0˚ 인 날을 춘분으로 하여 15˚ 이동했을 때를 청명 등으로 구분해 15˚ 간격으로 24 절기를 나눈 것이다.

 

따라서 90˚인 날이 하지, 180˚인 날이 추분, 270˚인 날이 동지이다.

그리고 입춘에서 곡우 사이를 봄, 입하에서 대서 사이를 여름, 입추에서 상강 사이를 가을, 입동에서 대한 사이를 겨울이라 하여 4계절의 기본으로 삼았다.

 

서양에서는 기독교의 영향으로 7일을 주기로 생활했으나 중국과 우리나라에서는 24 절기를 이용해서 15일을 주기로 생활하였다고 보면 된다.

실제로  달을 기준으로 하면 어김없이 15일 주기로 변하기 때문에 음력을 따르는 것이 농경 사회에 적합했다고 본다. 문제는 해와 달의 순기가 1년을 기준으로 서로 차이가 난다는 점이다 

 

생활 속에서 느끼는 하루하루의 편리성은 달을 기준으로 삼는 것이 좋지만 양력으로 맞추어진 절기와 4계절과는 차이가 난다는 단점이 있다. 

달이 지구를 1번 도는데 걸리는 시간은 29.5일이고, 여기에 12달을 하면 354일이 되는데 지구가 해를 공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365일로 11일이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24 절기의 배치

24 절기의 배치는 1년을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누고 각 계절을 다시 6등분 하여 양력 기준으로 한 달에 두 개의 절기를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태양의 움직임에 따른 일조량, 강수량, 기온 등을 보고 농사를 짓는데 음력은 불편함이 있었기에 태양의 운행, 즉 지구가 태양의 둘레를 도는 길인 황도를 따라 15˚씩 돌 때마다 황하유역의 기상과 동식물의 변화 등을 나타내어 명칭을 붙인 것이다. 즉 그 기준이 우리나라가 아니라 중국 황하유역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기후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24절기의 전체 요약

그 명칭은 다음과 같다.

* 봄    :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 여름 :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 가을 :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 겨울 :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24 절기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되어 있다.

 

24절기 외 우리가 챙기는 절일 들

한식, 단오, 삼복(초, 중, 말복), 칠석은 24 절기는 아니다. 그렇지만 때가 되면 늘 챙기게 되는 날들이다.

한식은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이고, 단오는 음력  5월 5일이며, 초복은 대략 7월 11일 무터 7월 19일 사이가 된다. 

 

하지로부터 세 번째로 돌아오는 경일(60개의 간지 중 경자가 들어가는 날)이 초복이 되고, 네 번째 돌아오는 경일이 중복이 된다. 그리고 말복은 입추로부터 첫번째 경일이 되므로, 초복과 중복은 열흘 간격이 되고, 중복에서 말복까지의 기간은 해마다 일정하지가 않다.

초복과 중복은 하지를 기준점으로 하고 말복은 입추를 기준점으로 한다.

 

예로부터 음력 3월 3일(삼월삼진), 음력 5월 5일(오월단오), 음력 7월 7일(칠월칠석), 음력 9월 9일(중양절)과 같이 월과 일이 겹치는 날은 양기가 가득 찬 길일로 여겼는데, 그 가운데 음력 5월 5일을 가장 양기가 센 날이라고 해서 으뜸 명절로 지내 왔다.

지금도 5월 단오는  '강릉 단오제'과 같은 집단적 단오제로 공동체의식을 이루는 축제를 벌이 행사를 크게 하고 있기도 하다.

 

출처 : 두산백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