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4절기

청명 2023년 4월5일 (음윤2월15일) 한식(4월6일) 관련속담

by 현명한도미니카 2023. 4. 2.
728x90
반응형

청명(淸明)

 

 정의

음력 3월에 드는 24절기의 다섯 번째 절기. 청명(淸明)이란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뜻을 지닌 말이다.

내용

청명은 음력으로는 3월에, 양력으로는 4월 5~6일 무렵에 든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15도에 있을 때이다. 이날은 한식(寒食) 하루 전날이거나 같은 날일 수 있으며, 춘분(春分)과 곡우(穀雨) 사이에 있다.

중국에서는 청명 15일 동안을 5일씩 3후(候)로 나누어 초후(初候)에는 오동나무의 꽃이 피기 시작하고, 중후(中候)에는 들쥐 대신 종달새가 나타나며, 말후(末候)에는 무지개가 처음으로 보인다고 하였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청명조(淸明條)의 기록에 따르면, 이날 버드나무와 느릅나무를 비벼 새 불을 일으켜 임금에게 바치며, 임금은 이 불을 정승과 판서를 비롯한 문무백관 그리고 360 고을의 수령에게 나누어준다. 이를 ‘사화(賜火)’라 한다.

 

수령들은 한식날에 다시 이 불을 백성에게 나누어주는데, 묵은 불을 끄고 새 불을 기다리는 동안 밥을 지을 수 없어 찬밥을 먹는다고 해서 한식이라고 한다.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에서는 불을 나누어주는 일을 한식조(寒食條)에 기록하고, 청명에 대하여서는 언급이 없다. 청명과 한식은 흔히 같은 날이 되기 때문에 뒤섞이는 경우가 많아 오늘날 민간에서도 뚜렷한 구분 없이 전해지고 있다.

 

농사력으로는 청명 무렵에 논밭의 흙을 고르는 가래질을 시작하는데, 이것은 특히 논농사의 준비 작업이 된다. 청명이 되면 비로소 봄밭갈이를 한다. 청명은 농사력의 기준이 되는 24절기의 하나로 날씨와 관련된 속신이 많다. 청명이나 한식에 날씨가 좋으면 그 해 농사가 잘 되고 좋지 않으면 농사가 잘 되지 않는다고 점친다.

 

바닷가에서는 청명과 한식에 날씨가 좋으면 어종이 많아져서 어획량이 증가한다고 하여 날씨가 좋기를 기대한다. 반면에 이날 바람이 불면 좋지 않다고 생각한다. 또 파도가 세게 치면 물고기가 흔하고, 날씨가 맑아도 물밑에서 파도가 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비해 경남 사천에서는 청명날의 날씨가 좀 어두워야 그 해 농작물(農作物)에 풍년(豊年)이 들고, 너무 맑으면 농사(農事)에 시원치 않은 것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어떤 지역에서는 청명에 나무를 심는데, 특히 ‘내 나무’라 하여 아이가 혼인할 때 농을 만들어줄 재목감으로 나무를 심었다. 이날 성묘(省墓)를 가기도 한다.

 

제주도에서는 청명이나 한식은 지상에 있는 신들이 하늘로 올라간 날이어서 특별히 택일(擇日)을 하지 않고도 산소를 돌보거나 이장(移葬)을 해도 좋다고 믿는다. 또 이날은 손이 없기 때문에 묘자리 고치기, 비석 세우기, 집 고치기를 비롯해 아무 일이나 해도 좋다고 한다.

 

의의

청명이란 말 그대로 날씨가 좋은 날이고, 날씨가 좋아야 봄에 막 시작하는 농사일이나 고기잡이 같은 생업 활동을 하기에도 수월하다. 곳에 따라서는 손 없는 날이라고 하여 특별히 택일을 하지 않고도 이날 산소를 돌보거나, 묘자리 고치기, 집수리 같은 일을 한다. 이러한 일들은 봄이 오기를 기다리면서 겨우내 미루어두었던 것들이다.

 

한식에 죽으나 청명에 죽으나

분야계절날짜관련정일관련속담

정의

한식과 청명은 보통 하루 사이이므로 하루 빨리 죽으나 늦게 죽으나 별 차이가 없음을 일컫는 속담.

유래

한식날 조정에서는 종묘()와 각 능원()에 제향을 지냈으며, 민간에서는 성묘를 했다. 한식의 유래에 대해서는, 중국의 옛 습속에 이날 풍우가 심하여 불을 금하고 찬밥을 먹던 습관에서 나왔다는 설과, 진()나라의 현인() 개자추()가 이날 산에서 불에 타죽었으므로, 그를 애도하는 뜻에서 이날 불을 금하고 찬 음식을 먹는다는 설이 있다. 그리고 비가 오는 한식날을 물한식이라 하며 개자추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내리는 비라고 믿었다.

내용

한식()은 4대 명절(설, 단오, 추석, 한식)의 하나로 24절후의 하나인 동지() 후 105일 또는 그 이튿날에 드는데 청명() 이튿날이거나 같은 날일 때도 있다. 대체로 한식과 청명은 양력 4월 5~6일쯤 하루 사이로 든다. “한식날 비가 오면 그 해에 풍년이 든다.”는 속신이 있다.

관련속담

“한식에 죽으나 청명에 죽으나”와 비슷한 속담으로는 “도긴개긴이다.”와 “오십보백보()”가 있다. 모두 별 차이가 없음을 나타낼 때 쓰이는 속담들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한식에 죽으나 청명에 죽으나 (한국세시풍속사전)

 

 청명·한식기간 특별경계근무 돌입

 


등산로 등 109개소 소방력 배치
산불예방 교육 및 순찰활동 강화

경남소방본부는 청명·한식을 전후한 4월 4일부터 7일까지 성묘, 식목 활동 및 등산객 등의 증가로 산불 발생 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화재를 예방하고, 신속한 초기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특별경계근무에 돌입한다.

최근 3년간 청명·한식 기간 총 102건(연평균 34건)의 화재가 발생했으며, 화재 발생의 주요 원인은 성묘객, 식목활동 시 부주의에 의한 화재가 90%를 차지해 입산객들의 주의와 관심이 필요하다.

특별경계근무 주요 추진내용은 도내 주요 공원묘지·등산로 주변 등 109개에 소방력(인원 883명, 차량 93대)을 동원하여 전진 배치하며, 순찰을 통한 예방활동 및 화재 발생 시 신속한 초기 대응체계를 확립하고, 소방관서장 지휘선상 근무 및 전 직원 비상응소체계 구축을 통한 신속한 소방력 투입으로 민가와 시설물 보호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또한, 산불재난 위기경보가 ‘주의’에서 ‘경계’ 단계로 상향 발령되어 산림청·지자체 등 관련기관에서도 대형산불특별대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기관간 협조체계를 강화하여 총력대응태세를 유지할 계획이다. 조인재 경남소방본부장은 “4월에는 건조한 날씨와 함께 강한 바람의 영향으로 산불 등 임야화재가 많이 발생한다”라며, “임야화재는 자칫 대형 산불로 이어질 우려가 있는 만큼 각별한 주의와 관심이 필요하다”라고 당부했다.

박성민기자
 

경남소방본부는 청명·한식을 전후한 4월 4일부터 7일까지 성묘, 식목 활동 및 등산객 등의 증가로 산불 발생 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화재를 예방하고, 신속한 초기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특별경계근무에 돌입한다.

                                                                      사진=경남도소방본부

 

 

 

24절기 전체를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https://bmh8108.tistory.com/entry/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