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명한 뉴스공장

챗GPT 적용한 MS '빙'…국내 이용자 7배 폭증 챗GPT가 일자리 위협할까? 조선소에도 챗봇이..

by 현명한도미니카 2023. 3. 27.
728x90
반응형

 

MS 검색 '빙' 사용자 급증…"네이버 꺾기 쉽지 않아"

 

 

 



인공지능(AI) 챗봇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기술을 적용해 세계적으로 인기몰이를 하는 마이크로소프트(MS) 검색엔진 '빙' 사용자가 국내에서 최근 급속도로 늘고 있다.

물론 아직 다른 포털에 비해 이용자가 미미한 수준이지만, 이런 기세를 이어 2010년대 이후 국내 검색 시장 '빅3' 판도를 공고히 지켜온 네이버와 구글, 카카오 '다음'의 아성에 도전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NHN데이터의 데이터 아카이브 '다이티 블로그'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국내 검색엔진 유입률(검색 점유율)은 네이버 62.81%, 구글 31.41%, 다음 5.14%다. 빙은 야후, 바이두 등과 합한 '기타'(0.23%)에 속해 당시만 해도 존재감이 없는 수준이었다.


아이지에이웍스의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빙 모바일 앱 구글 플레이스토어 일간 활성 이용자는 집계가 시작된 지난 4일 749명에서 약 2주 뒤인 지난 22일 5천274명으로 7배 넘게 증가했다.

 
 


사용자 수는 지난 14일까지 800명을 넘지 못하다가 정보기술(IT) 블로그와 커뮤니티 등에서 입소문을 타며 15일 이용자가 1천50명, 17일 1천350명으로 올랐다. 20일부터는 3천343명으로 급증하는 분위기다.

모바일인덱스는 아직 빙 앱의 애플 앱스토어 이용자 분석은 제공하지 않고 있어, 앱스토어 이용자까지 집계하면 30%가량 추가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오픈AI의 AI 챗봇 기술이 적용된 빙 앱은 지난달 말 플레이스토어와 앱스토어에 미리보기 버전으로 출시된 뒤 점차 일반에 공개됐다. MS가 대화형 AI 기술을 탑재한 새로운 '빙을 발표한 지 보름 만이다. 오픈AI에 따르면 빙에 장착된 AI 기술은 챗GPT와 유사하지만, 챗GPT 그 자체는 아니다.


AI 챗봇 기술을 업은 빙이 네이버와 구글, 다음의 점유율을 누르고 국내 검색의 떠오르는 샛별이 될 수 있을지는 결국 기존 포털들이 선보일 AI 검색의 '품질'과 '시간'이 관건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자체 AI 기술을 고도화해 빙을 얼마나 빨리 견제할 수 있을지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네이버는 상반기 중 AI 챗봇을 탑재한 '서치GPT'를 출시할 계획이고, 카카오도 이르면 올해 3분기 내 챗GPT에 대응한 AI 챗봇 서비스 '코챗GPT'를 선보인다. 구글은 지난 21일 챗GPT의 경쟁 제품인 AI 챗봇 '바드'를 미국·유럽에서 제한적으로 출시했고, 영역을 넓혀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네이버와 구글이 장기간 국내에서 축적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제 활용도를 보유해 우위를 유지하지 않겠느냐는 견해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는 지식iN, 블로그, 카페 등에 쌓아온 국내 맞춤 데이터와 한국어 특화 AI가 있고, 구글도 바드의 단점을 보완하며 검색 품질을 고도화할 역량이 충분하다고 본다"면서 "기존 포털이 AI 검색을 정식 출시한 뒤에도 빙이 인기를 이어갈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챗GPT 적용한 MS '빙'…국내 이용자 7배 폭증

 

인공지능(AI) 챗봇을 적용한 마이크로소프트(MS)의 검색엔진 ‘빙’ 사용자가 국내에서도 빠르게 늘고 있다.

26일 아이지에이웍스의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빙 모바일 앱의 구글 플레이스토어 일간 활성화 이용자(DAU)는 지난 4일 749명에서 22일 5274명으로 일곱 배 넘게 늘었다. MS는 지난달 말 오픈AI의 AI 챗봇 ‘챗GPT’를 기반으로 한 AI 검색 서비스를 빙에 도입했다.

빙을 기본 검색엔진으로 쓰는 MS의 웹브라우저 ‘에지’ 이용자도 증가 추세다. 모바일인덱스 집계 결과 올해 1월 3만4000여 명이던 에지 앱의 DAU는 이달 22일 5만6770명으로 석 달 새 67% 늘었다. 생성 AI를 장착하고 대화형으로 검색할 수 있는 빙에 관심이 집중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빙은 세계 검색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구글을 추격 중이다. 정보분석업체 시밀러웹에 따르면 지난달 7일부터 이달 20일까지 빙 방문자 수는 15.8% 증가했지만 구글 검색 방문자 수는 1%가량 줄었다. AI 기능을 발판 삼아 한국 시장에서 유의미한 점유율을 차지할 수 있을지도 관심사다. 한국의 검색시장 점유율은 작년 4분기 기준 네이버 62%, 구글 31%, 다음 5% 수준이다.

이승우 기자 

 
 

"챗GPT가 일자리 위협할까요?" 묻자…한국 개발자들 의견은


 

 


한국 개발자들은 챗GPT를 실제 업무에 활발히 활용하고 성장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챗GPT가 일자리를 위협할 것이라고 보느냐는 질문엔 응답이 갈렸다.

커리어테크 스타트업 퍼블리가 개발자 커뮤니티 커리어리 이용자 423명을 대상으로 한 ‘챗GPT 실제 업무 시 활용 여부’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6%가 ‘실제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고 답변했으며, 이어 응답자의 24%가 ‘실제 업무에는 활용하지 않지만 평소에는 자주 활용한다’고 밝혔다.

업무할 때 챗GPT를 활용하는 방법으로는 ‘개발 정보, 코드 등 구글링처럼 검색 용도로 사용한다’고 응답한 개발자가 48%였다. 이어 코드 작성(13%), 보고서 등 문서 작성 도움(13%), 반복 업무 도움(9%), 에러 및 버그 확인을 위한 코드 리뷰(7%) 순이었다.

챗GPT의 발전 가능성을 묻는 문항에서는 응답자의 69%가 아직 발전 중이나 3~5년 이내로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 전망했다. 13%는 최대 발전해도 인간을 대체하긴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응답자의 11%는 현재 수준으로도 충분히 인간을 대체할 만큼 발전했다고 평가했다.

챗GPT를 포함한 AI의 발전이 개발자 일자리를 위협할지 묻는 문항에서는 49%가 ‘오히려 높아진 생산성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 같다’고 전망했다. 32%는 ‘3~5년 안에 개발자 일자리가 감소할 것 같다’고 응답했다. 개발자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리는 모습이다.

 
 
 
 
 

조선소에 챗봇이?…삼성중, AI기반 SBOT 개발해 선박설계 도움

 

 

조선소에 챗봇이?…삼성중, AI기반 SBOT 개발해 선박설계 도움

GPT와 연계해 고도화 계획…"스마트 조선소가 최종 목표"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고객 접점이 많은 서비스업이나 지원 업무에 주로 사용됐던 챗봇이 대표적 제조업인 조선업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삼성중공업[010140]은 인공지능(AI) 기반 챗봇인 'SBOT'(에스봇)을 개발해 선박 설계에 적용하고 있다고 3월27일 밝혔다.
SBOT은 삼성(Samsung)과 챗봇(Chatbot)의 합성어로, 사용자가 자연어로 질문하면 AI가 그 의미를 분석해 사내에 축적된 설계 노하우와 규정, 계약 정보 등을 제공한다.
따라서 신입사원이나 초임자도 SBOT을 통해 업무를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고, 지식 검색 기능을 통해 설계 정보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삼성중공업은 전했다.

SBOT은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와 연동해 반복 업무를 간단한 명령어로 손쉽게 처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설계 담당자는 도면 검색, 일정 관리, 출도 등 단순 반복 업무를 줄일 수 있고, 이는 리드타임 단축과 품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중공업은 생산 업무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모바일 사용 환경, 음성인식 기능을 갖춘 SBOT을 추후 개발하고, 경영지원, 구매 등으로 활용 분야를 넓힐 계획이다.

또 챗GPT와 SBOT을 연계해 챗봇 서비스의 고도화도 추진한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삼성중공업의 최종 목표는 AI·빅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스마트 조선소의 완성"이라고 말했다.

댓글